소비도 공부해야 하는 걸 실감하는 요즘이다. 한때는 식품으로 파는 음식이면 다 먹을 수 있는 거라 생각했고 인체에 바르도록 허가된 제품이면 몸에 유해할 일이 없을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현실은 인체에 해로운지 검증되기 전에, 때로는 검증절차도 없이, 때로는 인체에 해롭다는 걸 알면서도 쏟아져 나오는 식품과 물품을 알게 되면서 경악했다. 그러니, 내 건강과 우리 가족의 건강은 내가 하나라도 더 배워서 실천할 수밖에 없다.
[아래 초록색 내용은 유투버 '미국사는 디온이네 in Seattle'이 올린 내용을 공부하는 마음으로 정리해 보았다.]
1. Maltodextrin
말토덱트린은 옥수수나 감자전분, 쌀 등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highly processed white powder이다. Corn syrup과 성분이 비슷하다고 보면 되는데 그것보단 조금 덜 단 성분이다.
피해야 할 첫 번째 이유도, GI가 높아서 혈당을 급상승시키기 때문이다. GI(Glycemic Index)란 혈당 상승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GI가 높으면 필요 이상의 인슐린이 분비되어 당뇨를 유발하고 잉어 열량은 지방으로 축척시켜 비만을 유발한다. 칼로리 못지않게 중요한 게 GI지수이다.
두 번째 이유는 옥수수 등은 대표적인 GMO 작물들이다. 안 그래도 나쁜 GMO 작물들을 다시 공장에서 가공 처리하여 섭취하기 때문이다. 그 이외에도 만성 염증 질환, 피부 알레르기, 위장장애 등이 있다.
2. Yeast Extract
조미료 MSG를 Yeast Extract에서 추출한다. 뇌에 맛의 교란 자극을 줘서 음식을 맛있게 느끼게 하는 MSG와 동등하다고 보면 된다.
3. Oils
Soy bean oil, Palm oil, Canola oil, Sunflower oil, Vegetable Oil..
첫째, NonGMO표시가 없으면 100% GMO 원료이다
콩, 옥수수, 해바라기 이런 것들은 대표적으로 GMO 작물로 장기간 섭취 시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둘째, 압착방식(Expeller-Pressed)이 아니다. 즉, 참기름, 들기름처럼 방앗간에서 짜듯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쉽고 저렴하게 화학적 추출방식으로 기름을 뽑아낸다 (Solvent Extraction). 그렇게 얻은 기름 속에는 화학물질이 미량 남게 되고 또 공장에서 많은 가공처리과정(Refined)을 거쳐서 우리 몸에 들어오면 독소로(Toxic) 쌓이게 된다.
Palm oil은 포화지방 함량이 놓고 역시 마찬가지로 공장에서 Highly Processed Highly Refined Oil이다. 팜유는 경화유로 바뀌는 과정에서 트랜스 지방 위협이 크고 몸에 들어온 팜유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각종 혈관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동남아시아(말레이시아 등)에서 팜유 개발을 위해 열대우림을 파괴하여(Palm Oil Plantaion) 많은 동물들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 많이 소비할수록 범위가 더 커지니 소비를 줄이는 방법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4. Natural Flavors
처음에는 이름이 건강해 보이고 나쁠게 뭐 있겠어 생각했는데 Natural Flavor는 식물이나 동물을 통해 얻어지는 거지만 Lab에서 chemical로 재탄생한다. 한마디로 화학물질이다. 그럼 Artificial Flavor는 Natural Flavor보다 더 나쁜 걸까? 출처가 다를 뿐 둘 다 똑같이 화학물질이다. Natural Flavor가 너무 만연해 있어 모조리 피하는 건 불가능해 보인다. 단지, 우리가 이를 인식하고 지혜롭게 거르는 게 필요하다.
이밖에도
5. 질산나트륨/질산염(Sodium nitrates/nitrites)
주로 육류에 들어가 방부제 역할로 쓰이는데 암을 유발하는 성분이다. 따라서 'nitrate or preservative-free'라는 표시를 확인하고 구입하거나 신선한 육류를 구입하는 게 좋다.
6. 경화유(Hydrogenated oils), Trans fat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심장질환, 당뇨병을 유발하는 트랜스 지방은 반드시 '0' 인지는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7. 설탕류
설탕성분은 corn syrup, high fructose corn syrup, agave nectar, honey, maple syrup, dextrose succrose, rice syrup, cane juice crystals, maltodextrin, fruit juice concentrate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음식의 방부제 역할과 맛을 내기 위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모든 설탕유는 당뇨병, 비만, 콜레스테롤 증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식품에 얼마의 양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성인 여성이 하루에 섭취하는 설탕은 24g, 성인 남성은 36g 이하여야 한다고 한다.
8. 인공감미료 (Artificial sweeteners)
위의 설탕류와 연관되는 것으로 sucralose, aspartame, saccharin 같은 화학적 감미료 이다. 아직 인공감미료에 대한 부작용에 대해 연구결과가 많이 나오진 않았다고 한다.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얘기지 몸에 해롭지 않다는 얘기는 아니다. 현재까지는 7번 설탕류와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으나, 신진대사장애, 편두통, 암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고 한다. 또한, 인공감미료는 소화기관에 있는 유익한 박테리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한다.
9. 강화 밀가루 (Enriched wheat) 등
사실, 열거하자면 논문을 쓰고도 남을 만큼이라 다 외우기도 벅차다.
내가 장볼때 기본 원칙은
- 반드시 Non GMO 식품을 고른다.
- 아보카도, 올리브 오일을 이용한 식품을 구입한다.
- 맛을 증가시키는 인공 및 천연감미료가 들어간 것은 사지 않는다.
- 트랜스 지방, 설탕, 소금의 양을 반드시 확인한다.
- 어려운 화학용어같은 성분이 많은 식품은 되도록 피한다.
'Smart & Simple Li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stant Pot Duo 6qt (0) | 2020.11.11 |
---|---|
부엌살림 영어이름 ( Cooking Tools) (0) | 2020.11.07 |
환경호르몬(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0) | 2020.09.06 |
미국에서 신용카드 and 신용점수 (0) | 2020.09.05 |
부엌 후드필터 청소 (Cleaning Greasy Stove Hood Filters) (0) | 202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