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 환경호르몬 하는데 이 기회에 공부 좀 해보기로 했다. 요즘 환경에 관심을 가지면서 나의 일상에 생각보다 많은 유해 물질이 있음에 놀라곤 한다. 왠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건강하게 생존하기 위해 공부해야 할 카테고리가 하나더 늘어난 것 같다.
환경호르몬의 정식 명칭은 '내분비계 교란 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이다. 이름부터 무시무시 하다. 유기용제, 플라스틱 같은 인공 화학물질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물질이 몸에 들어가 호르몬처럼 작용하여 인간의 몸 상태를 교란시켜서 환경호르몬이라 부른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합성원료, 첨가제(유연제, 가소제)가 들어간 그릇과 같은 일상용품, 포장용 비닐랩이나 일회용 포장지 등에 들어있다.
컵라면이 환경호르몬에 이슈가 된 이유는 뜨거운 물에 의해 쉽게 이 유해성분이 녹아나오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전자레인지에 문제의 용기나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해롭다. 모든 플라스틱 용기에서 환경호르몬이 나오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바닥에 숫자 5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표기가 되어 있는 용기들은 환경 호르몬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한다. 하지만, 과연 안전할까? 믿어도 되는 걸까? 아직까지 위험을 증명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
가만히 생각해 보면 배달음식의 용기나, 비닐봉지에 돌돌말아 찜통에서 찌고 있는 옥수수, 비닐에 덮여서 파는 순대, 접시에 비닐을 끼워주는 떡볶이, 용기에 넣은 채로 밥을 지은 즉석밥, 짜장면 그릇에 돌돌 말린 비닐랩도 모두 환경호르몬이 나오는 상황들이다. 특히, 음식점이나 할인점에서 사용하는 비닐랩은 비용 문제로 PVC 소재를 사용하는데, 탄력성을 주고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소제를 첨가하며 이 가소제가 환경호르몬 의심물질이라고 한다.
그런데, 플라스틱에 관련된 것 뿐일까? 알아보니 의외로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많은 물건이나 음식에도 환경호르몬이 검출되고 있다.
1) 개인생활용품 : 많은 화장품, 샴푸, 린스 등에도 호르몬을 교란시키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EWG(The Environmental Working Group) 홈페이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품을 검색해보면 아마 깜짝 놀랄지도 모른다. 특히, 향이 첨가된 용품은 대부분 유해물질이 들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 통조림 음식: 캔에는 BPA 필름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환경호르몬 물질이라고 한다.
3) 부엌용품: 논스틱 조리도구와 비닐랩, 플라스틱 통 등은 가열할 경우 환경호르몬이 나올 수 있다.
4) 청소 세정제: 대부분 공업용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이 성분들에서 환경호르몬이 검출된다.
5) 영수증: 대부분 BPA를 함유하고 있다고 한다.
6) 공장식 과일, 채소농장의 생산물: 농약과 제초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환경호르몬이 나올 수 있다.
7) 공장식 농장에서 생산된 육류나 유제품도 마찬가지 이다.
이렇게 나열하다보면 사용할 수 있는 물건도 먹을 수 있는 음식도 너무 제한적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조심하지 않을 수도 없다. 여기서 내가 생각한 심플한 실천 사항은
하나, 개인생활용품은 무조건 향이없는 제품으로 구매하고 유해성분을 확인하며 천연제품이 아닌 경우에는 가능한 최소의 양만 사용한다.
둘, 통조림 음식을 먹지 않는다.
셋, 논스틱 조리도구나 플리스틱도구, 비닐랩 등은 가급적 사용하지 말고 스테인레스나 유리같은 체품으로 대체한다.
넷, 청소도 가급적 베이킹 소다, 식초, 과탄산 소다같은 천연세제를 사용한다.
다섯, 영수증은 필요한 경우만 받고 이메일이나 문자로 가능하다면 다른 방법으로 받는다.
여섯, 음식은 최대한 유기농으로 먹을 양 만큼 구입한다.
'Smart & Simple Li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엌살림 영어이름 ( Cooking Tools) (0) | 2020.11.07 |
---|---|
식품에서 피해야 할 성분 (0) | 2020.10.15 |
미국에서 신용카드 and 신용점수 (0) | 2020.09.05 |
부엌 후드필터 청소 (Cleaning Greasy Stove Hood Filters) (0) | 2020.08.30 |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제품 구매시 연마제 제거 (0) | 2020.08.30 |